반응형
2025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방법, 자격 조건 기간 서류
2025 청년내일저축계좌 모집 시작! 최대 1,440만 원 받는 방법 총정리
월 10만 원 저축하면 최대 1,440만 원의 목돈 마련! 청년 자산형성을 돕는 ‘청년내일저축계좌’가 2025년에도 신규 모집을 시작했습니다. 신청 기간, 자격 조건, 달라진 점까지 한눈에 확인해보세요!
반응형
✅ 청년내일저축계좌란?
‘청년내일저축계좌’는 근로 중인 청년이 매달 저축하면 정부가 추가로 지원금을 적립해주는 제도입니다. 3년간 꾸준히 저축하면 정부 지원금과 이자를 포함해 최대 1,440만 원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.
✔️ 지원 구조
구분 | 본인 저축 | 정부 지원 | 총 적립금(3년 기준) |
기준 중위소득 50~100% | 월 10만 원 | 월 10만 원 | 720만 원 + 이자 |
기준 중위소득 50% 이하 | 월 10만 원 | 월 30만 원 | 1,440만 원 + 이자 |
👥 청년내일저축계좌 가입 자격 및 신청 조건
2025년 기준, 다음 조건을 충족하면 청년내일저축계좌에 가입할 수 있습니다.
1️⃣ 연령 및 국적
- 만 19세~34세 이하
- 대한민국 국적자
2️⃣ 근로·사업소득
- 월 50만 원 이상 소득 활동 중인 청년
- 2025년부터 상한 기준: 월 250만 원 이하 (기존 230만 원 → 상향)
3️⃣ 가구 기준 중위소득
- 기준 중위소득 100% 이하 가구
-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청년은 특별 우대
청년내일저축계좌 가입 기준 및 지원내용
구분 | 차상위 초과 (기준 중위소득 50%~100%) |
차상위 이하 (기준 중위소득 50% 이하) |
|
가입기준 | 연령 | 19세~34세 | 15세~39세 |
가구소득 | 기준 중위소득 50%~100% | 기준 중위소득 50% 이하 | |
근로소득 | 월 50만 원 초과~250만 원 이하 | 월 10만 원 이상 | |
지원내용 | 월 10만 원(정액지원) | 월 30만 원(정액지원) | |
만기(3년) 지급액 | 720만 원+이자 (본인저축금 360만 원 가정) |
1440만 원+이자 (본인저축금 360만 원 가정) |
🆕 2025년 청년내일저축계좌 변경 사항 3가지
✅ 1. 근로소득 기준 완화
- 기준 상향: 월 230만 원 → 250만 원
- 더 많은 청년들이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문턱을 낮췄습니다.
✅ 2. 온라인 계좌 관리 가능
- 2025년 하반기부터는 복지포털 ‘복지로’에서 온라인으로 신청 가능
- 적립 중지, 만기해지 신청도 방문 없이 처리 가능 예정
✅ 3. 맞춤형 금융교육 제공
- 만기 해지 예정자 대상 기초 자산관리 교육 및 1:1 금융상담 제공
- 전국 광역자활센터에서 신청 가능
📅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 기간 및 방법
✔️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기간
- 2025년 5월 2일(금) ~ 5월 21일(수)
- 온라인 신청은 5월 21일 23시 59분 59초까지 제출 필수
✔️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방법
- 온라인: 복지로
- 방문: 주소지 읍·면·동 행정복지센터
⚠️ 사전투표 기간 혼잡 예상 → 5월 16일 이전 방문 권장
🗂️ 청년내일저축계좌 제출서류 및 주의사항
🗂️ 청년내일저축계좌 제출서류 및 주의사항
- 근로·사업소득 증빙서류
- 가구 소득 및 재산 증빙서류
- 가구 특성 및 저축 지속 가능성 관련 서류
📌 미제출 시 지원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으므로 반드시 기한 내 서류 제출 필요!
📲 청년내일저축계좌 선정 결과 및 저축 시작
- 2025년 8월 중 선정 결과 개별 문자 안내
- 선정자: 하나은행 지점 방문 또는 ‘하나은행 원큐앱’으로 계좌 개설 후 저축 시작
반응형
'기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예금보호제도란? 9월부터 예금보호한도 1억으로 상향 (0) | 2025.05.18 |
---|---|
제철 수산물 총정리 1월 2월 3월 4월 5월! 지금 먹어야 제맛 (0) | 2025.05.18 |
65세 이상 기초 연금 신청방법 절차 자격 조건 총 정리 (0) | 2025.05.18 |
티스토리, 애드센스 앵커광고·오퍼월 광고 전면 금지!|시행일과 해제 방법 정리 (0) | 2025.05.14 |
옥상·외벽 셀프 방수공사 방법과 비용 총정리|에폭시·우레탄·페인트·시트지 장단점 비교 (0) | 2025.05.14 |
댓글